캡슐화
캡슐화는 꼭 필요한 정보와 기능만 외부에 오픈할 수 있다.
대부분의 멤버 변수와 메서드를 감추고 인터페이스를 제공하여 일관된 기능을 구현하게 함
인터페이스가 단순화 된다.
소프트웨어 재사용성이 높아진다.
변경 발생 시 오류의 파급효과가 적다.
DFD ( 자료흐름도 )
자료 흐름 그래프 또는 버블(bubble) 차트라고도 한다.
구조적 분석 기법에 이용된다.
시간 흐름을 표현하는 것이 아닌 자료의 흐름을 표현한다.
UML의 기본 구성 요소
Things (사물)
Relationship (관계)
Diagram
소프트웨어 설계
상위 설계: 아키텍처 설계, 데이터 설계, 인터페이스 정의, 인터페이스 설계
하위 설계: 모듈 설계, 자료구조 설계, 알고리즘 설계
사용자 인터페이스 개발 시스템의 기능
사용자 입력의 검증
에러 처리와 에러 메시지 처리
도움과 프롬프트(prompt) 제공
요구사항 명세기법
정형 명세기법
요구사항을 표현할 때 수학적인 원리와 표기법을 이용한다.
기법을 이해하기 어렵다.
표현이 간결하고 명확성과 검증 보장
비정형 명세기법
요구사항을 표현할 때 자연어를 기반으로 서술한다.
사용자와 개발자가 이해하기 편하다.
명확성과 검증에 문제
소프트웨어 개발 단계
요구 분석 과정
분석 결과의 문서화를 통해 향후 유지보수에 유용하게 활용 활 수 있다.
자료흐름도, 자료 사전 등이 효과적으로 이용될 수 있다.
보다 구체적인 명세를 위해 소단위 명세서(Mini-Spec)가 활용될 수 있다.
기능중심 개발 ( Feature-Driven Development )
애자일 방법론 중 하나
'정보처리기사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21년 1회] 정보처리기사 필기 - 소프트웨어 설계 (0) | 2022.02.03 |
---|---|
[20년 4회] 정보처리기사 필기 - 소프트웨어 개발 (0) | 2022.01.28 |
[20년 1/2회] 정보처리기사 필기 - 정보시스템 구축관리 (0) | 2022.01.27 |
[20년 1/2회] 정보처리기사 필기 - 프로그래밍 언어 활용 (0) | 2022.01.27 |
[20년 1/2회] 정보처리기사 필기 - 데이터베이스 구축 (0) | 2022.01.26 |